경주시, 도시재생사업에 지원해야 한다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7-06-18 16:33본문
대구의 경우 '골목투어'와 '김광석 길'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성공한 결과물이다. 낡고 오래된 도심을 허물지 않고 그대로 활용해 이야기를 입혀 관광상품화를 했다. 대구의 도심은 지가가 워낙 비싸기 때문에 재개발사업이 힘들었다.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서였다. 그것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됐다. 대구의 이 같은 시도는 문재인 정부가 매년 공적 제원 10조원을 투입해 5년동안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시행하겠다고 공약한 것보다 앞선 결단으로 이뤄졌다.
이제 새 정부가 공식적으로 도시재생을 위해 공적 재원까지 투입하겠다고 선언했으니 각 도시의 도시재생 사업은 날개를 달게 됐다. 더구나 대구의 경우는 정부가 도시재생 사업을 정책으로 내놓기 전부터 시도했으니 선도도시로서의 위상도 갖게 됐다. 특히 대구처럼 도심의 노화가 심한 지역이라면 도시재생이야 말로 도시 재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 분명하다.
부산의 경우 '감천 문화마을'이 생기면서 문화예술의 대중화가 크게 발전했다는 평을 받는다. 사라질 뻔했던 달동네를 예술로 옷을 입혀 새롭게 꾸며 시민과 관광객들이 줄을 잇게 만들었다. 사람들은 그곳에서 예술이 일상생활에 어떻게 접목되며 그것이 어떤 성과를 가져오는가를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게 했다. 감천 문화마을도 도시재생의 훌륭한 모범사례 중 하나다.
경주는 어떠한가. 원도심은 오랜 경기침체를 겪었고 동부사적지 주변 한옥마을은 겉모양만 한옥마을이지 별다른 콘텐츠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주민들 스스로 이 지역을 꾸미기 시작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어쩌면 관공서에서 의도적으로 도시재생을 주도한다면 지나치게 작위적으로 꾸며질 수도 있다. 그 리스크를 비껴갔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자율적 재생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나 행정이 뒷짐만 지고 있으면 안 된다. 도시재생을 위한 지원을 전폭적으로 해야 한다. 여수와 울산 중구의 경우에는 원도심 도시재생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곳에 문화예술과 관련된 업종이 입주할 경우 수선비와 월세, 간판 제작비 일부를 지원한다. 그랬더니 수많은 문화예술관련 업소가 모여들기 시작했다. 경주도 이런 시도를 해야 한다.
문화재 복원과 보존에만 올인하는 경주시의 문화관광정책은 이제 수정돼야 한다. 그것을 즐기기 위해 있어야 할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구축이 관광산업 성공의 전제조건이다. 대구나 부산, 울산 중구가 기울이는 도시재생의 모범사례를 멀뚱하게 지켜볼 것이 아니라 경주시가 해야할 일이 있다면 지금부터라도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이제 새 정부가 공식적으로 도시재생을 위해 공적 재원까지 투입하겠다고 선언했으니 각 도시의 도시재생 사업은 날개를 달게 됐다. 더구나 대구의 경우는 정부가 도시재생 사업을 정책으로 내놓기 전부터 시도했으니 선도도시로서의 위상도 갖게 됐다. 특히 대구처럼 도심의 노화가 심한 지역이라면 도시재생이야 말로 도시 재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 분명하다.
부산의 경우 '감천 문화마을'이 생기면서 문화예술의 대중화가 크게 발전했다는 평을 받는다. 사라질 뻔했던 달동네를 예술로 옷을 입혀 새롭게 꾸며 시민과 관광객들이 줄을 잇게 만들었다. 사람들은 그곳에서 예술이 일상생활에 어떻게 접목되며 그것이 어떤 성과를 가져오는가를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게 했다. 감천 문화마을도 도시재생의 훌륭한 모범사례 중 하나다.
경주는 어떠한가. 원도심은 오랜 경기침체를 겪었고 동부사적지 주변 한옥마을은 겉모양만 한옥마을이지 별다른 콘텐츠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주민들 스스로 이 지역을 꾸미기 시작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어쩌면 관공서에서 의도적으로 도시재생을 주도한다면 지나치게 작위적으로 꾸며질 수도 있다. 그 리스크를 비껴갔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자율적 재생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나 행정이 뒷짐만 지고 있으면 안 된다. 도시재생을 위한 지원을 전폭적으로 해야 한다. 여수와 울산 중구의 경우에는 원도심 도시재생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곳에 문화예술과 관련된 업종이 입주할 경우 수선비와 월세, 간판 제작비 일부를 지원한다. 그랬더니 수많은 문화예술관련 업소가 모여들기 시작했다. 경주도 이런 시도를 해야 한다.
문화재 복원과 보존에만 올인하는 경주시의 문화관광정책은 이제 수정돼야 한다. 그것을 즐기기 위해 있어야 할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구축이 관광산업 성공의 전제조건이다. 대구나 부산, 울산 중구가 기울이는 도시재생의 모범사례를 멀뚱하게 지켜볼 것이 아니라 경주시가 해야할 일이 있다면 지금부터라도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