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용사지는 통일신라시대 화려한 금속공예기술이 집약된 유적˝
페이지 정보
장성재 작성일20-10-22 19:53본문
↑↑ 황용사 절터 중심사역 서쪽구간에서 '금동귀면', '금동보당 당간과 기단', '금동불상 대의편', '금동사자상', '금동연봉', '금동촉대 받침' 등 금동제 유물 20여 점이 다량 출토됐다.
[경북신문=장성재기자] 경주 황용사(黃龍寺) 절터에서 금동귀면과 금동사자상을 비롯한 통일신라시대 금동제 유물 수십점이 출토되면서 황용사 불교 유적에 대한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경주 황용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며 경주 보문단지에서 감포 방면으로 넘어가는 동대봉산(옛 은점산) 절골에 위치하고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사업의 일환으로 2018년부터 경주 황용사지에 대한 시굴조사를 시작해 올해까지 3년에 걸쳐 시굴·발굴조사를 진행해 왔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2일 황용사 발굴터에서 경주 황용사지에 대한 조사성과 공개 설명회를 열었다. 이번 조사는 중심사역 서쪽구간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이며 서탑을 중심으로 회랑, 건물지, 석축, 석렬, 진입부 등 많은 유구가 확인됐다.
유물은 지난 조사에서 확인됐던 투조 '금동귀면'이 추가로 2점 더 출토됐고 이와 함께 '금동보당 당간과 기단', '금동불상 대의편', '금동사자상', '금동연봉', '금동촉대 받침' 등 금동제 유물 20여 점이 다량 출토됐다. 투조 금동귀면은 지난조사에서 확인된 금동귀면과 비슷하지만 크기나 수염, 귀모양 등이 조금씩 다른 형태로 확인됐다.
↑↑ 황용사지 금동보당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가장 큰 보당으로 확인되고 있다.특히 금동보당(번이나 당과 같은 소형 깃발을 매달 수 있도록 축소 제작해 실내에서 사용한 당간) 당간과 기단부는 지금까지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적이 없었다. 이번 황용사지에서 처음 확인됐는데,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가장 큰 보당이다. 현재 리움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시대 보당과 비교하면 리움미술관 소장품이 73.8㎝인것에 비해 황용사 출토 금동보당은 잔존해 있는 당간부와 지주부만 110㎝로 대형이며, 시기도 황용사 당간이 앞선다.
금동불상 대의편(대좌위에 흘러내린 옷주름 조각)은 직경 30㎝가 넘으며 전체 비례로 볼 때 약 1m 이상의 대형 금동불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금동사자상 2점이 출토됐다. 크기는 약 17㎝정도이고 앞, 뒷다리를 쭉 뻗어 무엇인가를 받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분황사, 용장사 출토품과 유사하며 주로 촉대나 광명대를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금동연봉, 금동촉대받침 등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확인돼 창건 당시 황용사의 격이 경주지역 내 주요 사찰과 비교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았던 것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조사결과, 황용사는 계곡을 따라 다단의 석축 대지를 축조한 후 상면에 건물들을 조성했던 산지형 가람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돼 조선시대까지 계속해서 번창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중심사역에는 쌍탑과 금당지를 비롯한 회랑과 축대, 석렬, 배수로, 소성유구 등 다양한 유구들이 중복돼 확인되고 있으며 석불, 소조불, 용두편, 쌍조문 암막새 등의 희귀한 유물도 출토되고 있다.
↑↑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황용사 중심사역 전체 항공 촬영 모습.
불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경주 황용사지는 통일신라시대의 화려한 금속공예기술과 건축기술이 집약된 유적으로 확인되며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고고학적 쾌거라고 볼 수 있다"면서 "지금까지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황용사지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 정비, 복원 등이 이루어진다면 또 다른 경주지역 대표 불교문화유적이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장성재 blowpaper@naver.com
[경북신문=장성재기자] 경주 황용사(黃龍寺) 절터에서 금동귀면과 금동사자상을 비롯한 통일신라시대 금동제 유물 수십점이 출토되면서 황용사 불교 유적에 대한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경주 황용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며 경주 보문단지에서 감포 방면으로 넘어가는 동대봉산(옛 은점산) 절골에 위치하고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사업의 일환으로 2018년부터 경주 황용사지에 대한 시굴조사를 시작해 올해까지 3년에 걸쳐 시굴·발굴조사를 진행해 왔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2일 황용사 발굴터에서 경주 황용사지에 대한 조사성과 공개 설명회를 열었다. 이번 조사는 중심사역 서쪽구간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이며 서탑을 중심으로 회랑, 건물지, 석축, 석렬, 진입부 등 많은 유구가 확인됐다.
유물은 지난 조사에서 확인됐던 투조 '금동귀면'이 추가로 2점 더 출토됐고 이와 함께 '금동보당 당간과 기단', '금동불상 대의편', '금동사자상', '금동연봉', '금동촉대 받침' 등 금동제 유물 20여 점이 다량 출토됐다. 투조 금동귀면은 지난조사에서 확인된 금동귀면과 비슷하지만 크기나 수염, 귀모양 등이 조금씩 다른 형태로 확인됐다.
↑↑ 황용사지 금동보당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가장 큰 보당으로 확인되고 있다.특히 금동보당(번이나 당과 같은 소형 깃발을 매달 수 있도록 축소 제작해 실내에서 사용한 당간) 당간과 기단부는 지금까지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적이 없었다. 이번 황용사지에서 처음 확인됐는데,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가장 큰 보당이다. 현재 리움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시대 보당과 비교하면 리움미술관 소장품이 73.8㎝인것에 비해 황용사 출토 금동보당은 잔존해 있는 당간부와 지주부만 110㎝로 대형이며, 시기도 황용사 당간이 앞선다.
금동불상 대의편(대좌위에 흘러내린 옷주름 조각)은 직경 30㎝가 넘으며 전체 비례로 볼 때 약 1m 이상의 대형 금동불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금동사자상 2점이 출토됐다. 크기는 약 17㎝정도이고 앞, 뒷다리를 쭉 뻗어 무엇인가를 받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분황사, 용장사 출토품과 유사하며 주로 촉대나 광명대를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금동연봉, 금동촉대받침 등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확인돼 창건 당시 황용사의 격이 경주지역 내 주요 사찰과 비교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았던 것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조사결과, 황용사는 계곡을 따라 다단의 석축 대지를 축조한 후 상면에 건물들을 조성했던 산지형 가람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돼 조선시대까지 계속해서 번창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중심사역에는 쌍탑과 금당지를 비롯한 회랑과 축대, 석렬, 배수로, 소성유구 등 다양한 유구들이 중복돼 확인되고 있으며 석불, 소조불, 용두편, 쌍조문 암막새 등의 희귀한 유물도 출토되고 있다.
↑↑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황용사 중심사역 전체 항공 촬영 모습.
불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경주 황용사지는 통일신라시대의 화려한 금속공예기술과 건축기술이 집약된 유적으로 확인되며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고고학적 쾌거라고 볼 수 있다"면서 "지금까지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황용사지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 정비, 복원 등이 이루어진다면 또 다른 경주지역 대표 불교문화유적이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장성재 blowpaper@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